My father had a unique sense of humor.

저희 아버지는 독특한 유머감각의 소유자셨는데요

This is a button he liked.

이게 아버지가 좋아하신 문구입니다

It reads, if you can’t read it,

안 보이시는 분들이 계실까 봐 읽어드리면

Genius is genetically determined

천재는 유전이 좌우한다

You inherit it from your children

우리는 우리 자식들로부터 천재성을 물려받는다

You know, he didn’t take himself too seriously.

보시다시피 아버지는 진지함과는 거리가 먼 분이셨죠

My father realized I was the, you know, responsible and reliable sort

아버지는 제가 책임감이 있고 믿음직하다는 걸 아시고는

he tried to teach me how to do their income taxes.

저에게 소득세 신고하는 걸 가르치려고도 하셨는데요

I was 12.

당시에 저는 12살이었습니다

My mother told him to stop torturing me.

저희 어머니가 그만 좀 괴롭히라고 말리셔야 했죠

Thinking back now, as a parent myself,

이제 제가 부모가 되어 생각해 보니

I don’t know how he did that.

어쩜 그러게 장난을 많이 치셨는지..

I couldn’t have done half the stuff he did.

저는 아버지 장난의 반도 못 따라가겠거든요

He loved to cause mischief.

아버지는 장난치는 걸 그렇게 좋아하셨어요

When we were in a restaurant and putting our name on a list,

한 번은 레스토랑에 가서 대기자 명단에 이름을 적는데

he would spell the name.

이름을 이렇게 적으시더라구요

B, J, O with a line through it, R, K

B, J, O에 선을 하나 긋고, R, K라고 기입하시고는

and gleefully wait for the name to be called.

혼자 신이 나셔서 이름을 어떻게 호명하는지 지켜보곤 하셨죠

When we were at a restaurant,

또 한 번은 레스토랑에서

he would order a coffee

커피를 주문하시고는

and when it was brought to the table

저희 자리로 커피를 서빙해 주신 분께

he’d say, It’s for the children.

‘우리 애들이 마실 겁니다’라고 하시더군요

Omni magazine once made the assessment that

과학 잡지에서 한때 아버지를 이렇게 평했습니다

Richard Phillips Feynman

리처드 필립스 파인만은

was the smartest man in the world.

세계에서 가장 똑똑한 사람이었다

I’d like to show one picture that to me

이 사진을 한 장 보여드리고 싶은데요, 저한테는

encapsulate how encompassing his love for physics was.

아버지가 물리를 얼마나 사랑하셨는지를 함축하여 보여주는 사진입니다

I know, it looks like a scrap of paper.

압니다. 종이 쪼가리처럼 보이시죠?

Yeah, it is a scrap of paper.

맞습니다. 종이 쪼가리인데요

It’s the Time magazine subscription insert postcard thing.

바로 타임지를 구독하면 함께 딸려오는 엽서입니다

As you can see, it’s completely covered by equations.

보시는 바와 같이 공식들로 완전히 뒤덮여있죠

This happened during leisure reading, right

여가시간에 책을 읽으실 때도 마찬가지셨는데요

so he’s reading along and still thinking about physics.

책을 읽으실 때도 여전히 물리에 대한 생각을 하고 계셨다는 거겠죠

This is how he worked.

항상 이런 식이셨어요

He covered newspaper margins

신문 여백에도 공식들로 가득 매우셨고

and placements in restaurants,

식당 자리에 놓인 종이에도 마찬가지였고

even Kleenex boxes with calculations.

심지어는 크리넥스 휴지곽에도 온갖 계산들로 뒤덮으셨죠

I don’t think he considered it work

아버지는 이걸 일로 생각하지 않으셨던 것 같아요

because he enjoyed it so much.

왜냐하면 정말로 즐기셨던 것 같거든요

But I think of my father as a very hard worker.

그래도 저는 아버지가 정말로 열심히 하셨던 분으로 기억합니다

You ask me if an ordinary person, by studying hard

저에게 만약 평범한 사람도 공부를 열심히 한다면

would get to be able to imagine these things like I imagine it,

제가 상상하는 그런 것들을 상상해 낼 수 있는지를 물어보신 거라면

of course!

당연하죠!

I was an ordinary person who studied hard.

저도 공부를 열심히 한 평범한 사람이니까요

There’s no miracle people.

그냥 기적을 낳는 사람은 없습니다

It just happens they got interested in this thing,

다들 그저 어쩌다가 과학에 흥미가 생겨서

and they learned all this stuff.

이런 것들을 배운 것일 뿐이니까요

They’re just people.

모두 평범한 사람들입니다

There’s no talent or

특별한 재능을 요한다거나

special miracle ability to understand quantum mechanics

양자역학을 이해하기 위한 기적의 능력 따윈 존재하지 않습니다

or miracle ability to imagine electromagnetic fields

전자기장을 상상해내는 기적의 능력 같은 것도 마찬가지이구요

that comes without practice and reading and learning and study.

이런 능력은 연습과 독서, 학습과 공부 없이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So if you say you take an ordinary person

그렇기 때문에 평범한 사람일지라도

who’s willing to devote a great deal of time and study

굉장히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공부하고

and work and thinking and mathematics and so on,

노력하고 생각하고 수학을 익히고 한다면

then he’s become a scientist.

그렇게 과학자가 되는 겁니다

It’s interesting that some people find science so easy

어떤 이들은 과학을 너무나 쉽게 습득하고

and others find it kind of dull and difficult

또 어떤 이들은 재미없고 어렵다고 느끼는 걸 보면 흥미롭습니다

especially kids; you know,

특히 아이들의 경우에는

some of them are just heated up,

어떤 아이들은 과학에 흠뻑 매료되기도 하는데

and I don’t know why it is.

저도 잘 모르겠지만

It’s the same for all..

이것도 다음과 똑같겠죠

For instance, lots of people love music

예를 들어 많은 분들이 음악을 좋아하시지만

and I never.. could carry a tune.

저는 노래를 아예 못했거든요

I lose a great deal of pleasure out of that

그래서 저는 음악이 주는 즐거움을 상당 부분 상실했거든요

and I think that people lose a lot of pleasure who find the science dull.

마찬가지로 과학을 따분하게 느끼는 분들도 과학이 주는 즐거움을 잃은 분들일 텐데

In the case of science,

과학의 경우..

I think that one of the things that make it very difficult is that

제가 보기에 과학이 어렵다고 느껴지게 만드는 원인 중 하나는 바로

it takes a lot of imagination.

엄청난 상상력을 요구하기 때문인데요

It’s very hard to imagine all the crazy things that things really are like.

정말 말도 안 되는 현상들을 상상해내는 것이 굉장히 어렵기 때문이겠죠

You see, I have had in my life a number of pleasant experiences.

제 인생에서 기분 좋은 경험을 한 순간들이 여럿 있었는데

One of the earliest ones was when I was a kid

그중에 가장 초창기의 기억은 바로 제가 어렸을 때

I invented a problem for myself,

제가 풀려고 문제를 고안해 냈을 때였죠

the sum of the powers of the integers,

정수의 거듭제곱의 합을 구하는 문제였는데

and in trying to get the formula for it

이에 대한 공식을 찾아내려고 고심하던 와중에

I developed a certain set of numbers,

저는 특정 숫자들의 집합체를 고안해 내게 됐는데

the formula for which I couldn’t get,

제가 알지 못하는 공식을 얻기 위한 숫자들이었죠

and I discovered later that

그러다가 나중에 알게 된 사실은

those were known as the Bernoulli numbers

제가 발견해낸 것이 바로 베르누이 수라고 불리는 것으로

and discovered in 1739.

1739년에 발견된 것이 더군요

So I was up to 1739 when I was about 14 you see.

저는 1739년에 발견된 사실을 14살에 스스로 발견하고 있었던 거죠

And then a little later

그러다가 조금 뒤에

I discovered something that I’d find out I just may have invented a thing

저는 또 무언가를 발견하게 되는데 혹시나 내가 고안해 낸 것인가 하고 봤더니

which we now call operator calculus.

이는 오늘날에 연산자법이라 불리는 것으로

and that was invented in 1890-something.

1890 몇 년에 발견됐더군요

Gradually I was inventing things that came later and later.

저는 계속해서 그 후에 속속들이 밝혀지는 것들을 스스로 발견해 나가고 있었죠

But to moment when I began to realize that I was now working on something new was

그러다가 마침내 제가 완전히 새로운 것을 연구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순간은

when I read about quantum electrodynamic at the time and I read a book, and I learned about it.

바로 제가 양자 전기역학에 대한 책을 읽으며 이에 대해 공부하고 있을 때였습니다

For example, I read Dirac’s book,

저는 디랙(이론물리학자)의 저서를 읽고 있었는데

and he had these problems that nobody knew how to solve which he described there.

그 책에서 디랙은 그 누구도 풀지 못할 문제들을 설명하고 있었는데요

I couldn’t understand the book very well

저도 그 책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because I really wasn’t up to it.

왜냐하면 그 수준에 이르지 못했으니까요

But there, in the last paragraph at the end of the book, it said,

그런데 그 책의 마지막 장, 마지막 문단에 보니 이렇게 적혀 있더군요

Some New ideas are here needed.

여기서부터는 새로운 발상이 필요하다

And so, there I was, some new ideas were needed.

그래서, 여기서부터는 새로운 발상이 필요하다 길래

Ok, so I started to think of new ideas.

그때부터 저는 새로운 발상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했습니다

I can live with doubt and uncertainty and not knowing.

저는 의혹과 불확실성 그리고 알지 못하는 상태로 살아갈 수 있습니다

I think it’s much more interesting to live not knowing

우리가 알지 못하는 상태로 살아가는 게 훨씬 흥미롭다고 생각하거든요

than to have answers which might have been wrong.

틀렸을 수도 있는 정답을 안다고 생각하며 살아가는 것보다 말입니다

I have approximate answers and possible beliefs

저는 저만의 대략적인 해답과 가능할 수도 있다는 믿음

and different degrees of certainty about different things,

그리고 다양한 것들에 대해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확신을 가지고 있지만

but I’m not absolutely sure of anything

그렇다고 그 어떤 것에도 전적으로 확신하지는 않습니다

and there are many things I don’t know anything about,

또한 제가 전혀 알지 못하는 것들도 많이 있는데

such as whether it means anything to ask

가령 물어도 의미가 없는 질문들이 있죠

‘why are we here,

‘우리는 왜 이곳에 존재하는가

and what the question might mean.’

그리고 이 질문이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

I might think about it a little bit

이에 대해 잠깐은 생각해 볼 수 있겠습니다만

but if I can’t figure it out,

만약 이에 대해 알아낼 도리가 없으면

then I go on to something else,

저는 그냥 다른 주제로 넘어갑니다

but I don’t have to know an answer.

정답을 알고 있어야 할 필요가 없는 거죠

I don’t feel frightened by not knowing things,

저는 제가 무언가를 모른다는 사실이 두렵지 않습니다